'재미난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BS 천재토크 이두희 (0) | 2014.11.25 |
|---|---|
| 우월한 장윤주 몸매 (0) | 2014.11.25 |
| 트레이너 최수연 (0) | 2014.11.25 |
| 이 친구는 누구징? (0) | 2014.11.25 |
| 호란 노브 (0) | 2014.11.06 |
| EBS 천재토크 이두희 (0) | 2014.11.25 |
|---|---|
| 우월한 장윤주 몸매 (0) | 2014.11.25 |
| 트레이너 최수연 (0) | 2014.11.25 |
| 이 친구는 누구징? (0) | 2014.11.25 |
| 호란 노브 (0) | 2014.11.06 |
[issue!] 들쑥날쑥 코스닥시장 따라가는 스팩…경쟁률 내리막길로
최근 들어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의 공모주 청약 경쟁률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5~8월까지만 해도 186~285대1에 달했던 스팩의 청약 경쟁률은 9월 말부터 하락 곡선을 그리기 시작하더니, 최근에는 경쟁률이 1대1도 안 되는 스팩까지 등장했다. 일부 증시 전문가들은 하반기 들어 스팩을 포함한 공모주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져 청약 경쟁률이 하락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지난 2010년부터 스팩의 공모 청약 경쟁률은 수요·공급의 균형 문제보다는 코스닥시장 자체의 증시 흐름과 더 큰 상관 관계를 보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3~14일 공모주 청약을 실시한 대우증권(006800) (11,300원▲ 100 0.89%)의 대우스팩2호는 1대1이 채 안 되는 0.4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스팩의 공모주 청약이 미달된 것은 지난해 말 키움제2호스팩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사실 스팩의 청약 경쟁률은 지난 8월 정점을 찍은 뒤로 꾸준히 하락해왔다. 8월 초 우리스팩3호가 284.44대1의 경쟁률에 청약을 마친 뒤 KB스팩3호·신한스팩2호·대우스팩2호의 경쟁률이 각각 98.86대1, 64.46대1, 0.49대1로 점차 하락했다.
작년부터 올해까지 상장한 스팩들의 청약 경쟁률을 살펴보면, 이는 코스닥지수의 흐름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보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공모주 청약을 실시한 두개의 스팩은 각각 0.39대1, 1.55대1의 저조한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들이 공모할 당시 코스닥지수는 500선을 간신히 넘는 수준이었다. 그러다 올 4월 코스닥지수가 560선을 넘자 스팩 청약 경쟁률도 두자릿수로 올랐다.
최근의 스팩 경쟁률 하락도 코스닥지수의 흐름과 관계가 깊다. 코스닥지수는 9월 말 570~580선을 넘나들며 정점을 찍은 뒤 대우스팩2호의 청약이 미달됐을 무렵에는 530대로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10년 국내 주식시장에 스팩이 처음 등장했을 때와 비슷한 현상이다. 그 해 8~9월 코스닥지수는 460~480대 사이에서 등락했는데, 당시 스팩의 청약 경쟁률은 대체로 저조했다. 8월 한달동안만 스팩 6개 중 4개의 청약이 미달될 정도였다.
한편 증권 업계에서는 최근의 스팩 청약 경쟁률 하락이 공모주 시장 전체의 과열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 과거의 사례를 참고해보면 이는 스팩의 경쟁률의 하락과는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0년 한해 동안 공모주 청약을 실시한 업체는 스팩을 포함해 총 98개였다. 이들 중 무려 20개가 10~11월 두 달 사이에 몰려있었는데, 이 때 스팩의 청약 경쟁률은 최고조에 달했다. 선데이토즈(123420) (17,500원▲ 450 2.64%)를 우회상장시킨 것으로 잘 알려진 하나그린스팩1호와 부국증권의 부국퓨쳐스타즈스팩이 각각 535.36대1, 321.8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오히려 경쟁률 미달 스팩이 4개나 나온 8월에는 공모주 시장이 상대적으로 침체돼있었다. 공모 시장이 과열됐다 해서 스팩이 흥행에 실패하리란 보장은 없다는 얘기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기본적으로 스팩이 주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만큼, 시장 전체의 상황이 스팩의 공모 흥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면서 “현재 여러 증권사들이 스팩 공모를 앞두고 있는데 현재 코스닥지수 흐름이 워낙 들쑥날쑥해 이들의 흥행 성공 여부도 쉽게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2015년 4월 10일 Headline (0) | 2015.04.13 |
|---|---|
| 2014-11-27 Today's the bell headline (0) | 2014.11.27 |
| [THE BELL]DCM 강자 KB證, 스팩 강자로 급부상 (0) | 2014.11.21 |
| [CEO스코어데일리]증권사 스팩(SPAC), 인기는 높지만 성적은 '초라' (0) | 2014.11.21 |
| [한국경제]미래에셋제2호스팩, 기관투자가 몰리는 이유는? (0) | 2014.11.21 |
DCM 강자 KB證, 스팩 강자로 급부상
발행사들 수요 선제 대응...수수료 수입 짭짤하고 리스크 적어
이 기사는 2014년 11월 05일 10:0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투자증권이 업계에서 가장 많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를 설립하고 있다. KB투자증권은 스팩 합병을 원하는 발행사들의 수요가 늘어났다고 판단, 이에 대응하고자 100억 원 단위로 스팩을 상장시키고 있다. 코스닥 직상장보다 수수료 수입이 많고 투자 리스크가 적은 점도 KB투자증권이 스팩 설립에 적극적인 이유로 분석된다.
◇ 6개 스팩 설립...발행사 니즈 대응 위해 100억 원 단위로 준비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투자증권이 상장시켰거나 예심을 청구한 스팩은 총 6개다.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는 우리투자증권보다도 2개나 더 많다. KB투자증권은 주식자본시장(ECM) 딜 수임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건 후 스팩 설립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그 동안 KB투자증권은 스팩 시장에서 성공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첫 번째 스팩인 케이비글로벌스타게임앤앱스기업인수목적주식회사(KB스팩)을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업체인 알서포트와 올해 초 합병시켰다. 지난 5월에는 케이비제2호스팩이 보안 솔루션 업체인 케이사인과의 합병을 결정하고 오는 11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KB투자증권은 스팩 합병을 원하는 발행사들의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스팩의 경우 자금 유입 규모가 확정돼 향후 자금 계획을 세우기 용이하다. 상장 예비심사 등의 절차가 없어 상장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도 발행사들이 스팩 합병을 선호하는 이유다.
KB투자증권은 스팩 합병을 원하는 기업들의 규모가 달라 이에 대응하고자 100억 원 단위로 스팩을 설립했다. 다양한 규모의 스팩을 상장시켜놓고 기업가치에 따라 재빠르게 합병을 진행하기 위해서다. KB투자증권이 설립한 스팩의 공모 규모는 △ 케이비제3호스팩 200억 원 △ 케이비제4호스팩 200억 원 △ 케이비제5호스팩 100억 원 △ 케이비제6호스팩 300억 원이다.
최성용 KB투자증권 상무는 "스팩이 처음 출시됐을때는 상장 준비 기업들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았지만 이제는 스팩을 상장 전략 중 하나로 인식하는 기업들이 많다"며 "스팩 상장을 원하는 기업마다 필요한 스팩의 규모가 달라 100억 원 단위로 스팩을 상장시켜 발행사들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 스팩이 코스닥 직상장보다 '짭짤'...리스크 부담도 적어
코스닥 직상장의 경우 주관사는 보통 공모 금액의 약 1~3% 수준의 수수료를 받는다. 하지만 스팩 합병의 경우 3~3.5%의 수수료 수입 외에 발기인으로 출자했던 지분의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다. 또 스팩은 IPO와 인수·합병(M&A)이 섞여 있는 상품이라 약 2억~5억의 합병 자문 수수료도 받을 수 있다.
투자 리스크가 적은 점도 KB투자증권이 스팩 설립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다. 스팩은 설립 후 3년 동안 합병 대상을 찾지 못하면 상장 폐지된다. 상장 폐지가 되더라도 주관사와 발기인들이 입는 손실은 업무상 실비 수준이다. 출자와 공모를 통해 모집된 자금도 안전한 자산에 투자해 원금과 이자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관사와 투자자들의 리스크가 매우 적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최 상무는 "스팩은 실속을 챙길 수 있으면서도 투자 부담이 적어 주관사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상품"이라며 "현재 계획된 스팩을 모두 설립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스팩 상장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 2014-11-27 Today's the bell headline (0) | 2014.11.27 |
|---|---|
| [조선Biz] 들쑥날쑥 코스닥시장 따라가는 스팩…경쟁률 내리막길로 (0) | 2014.11.21 |
| [CEO스코어데일리]증권사 스팩(SPAC), 인기는 높지만 성적은 '초라' (0) | 2014.11.21 |
| [한국경제]미래에셋제2호스팩, 기관투자가 몰리는 이유는? (0) | 2014.11.21 |
| 20141121 Today's the bell headline (0) | 201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