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김흥국생명
,

기업분석 및 재무제표 분석에 ChatGPT를 활용하려면 아래의 단계별 프로세스를 따라가는 것이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제가 이 과정에서 도와드릴 수 있는 부분도 명확히 정리해 드릴게요!


1. 분석의 목적 정의

  • 질문: 기업분석의 목적이 무엇인가요? 투자 의사결정, 신용평가, 또는 특정 사업 부문의 이해인가요?
  • 목적에 따라 접근 방식이 달라집니다.
  • ChatGPT 활용: 분석 목적에 맞는 프레임워크와 필요한 데이터 종류를 추천드립니다.

2. 데이터 수집

  • 필요한 데이터:
    • 기업의 기본 정보: 사업 개요, 업종, 주요 제품/서비스
    • 재무 데이터: 재무제표(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등)
    • 산업 동향 및 경쟁사 비교 데이터
  • 데이터 소스:
    • DART(전자공시 시스템), Bloomberg, Reuters, 또는 증권사 리서치 자료 활용.
  • ChatGPT 활용:
    • 데이터 수집 전략 제안.
    • DART 같은 공시사이트를 통해 어떤 자료를 찾아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안내.

3. 재무제표 분석

  • 기본 분석:
    • 수익성 분석: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영업이익률 등
    • 안정성 분석: 부채비율, 유동비율 등
    • 성장성 분석: 매출 성장률, 자산 증가율 등
  • 심화 분석:
    • EBITDA 분석, ROE/ROA, FCFF/FCFE 계산 등
  • ChatGPT 활용:
    • 재무제표 데이터를 입력하면 주요 지표를 계산 및 분석.
    •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평가 기준 제시.

4. 산업 및 경쟁사 분석

  • 방법:
    •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주요 트렌드 파악.
    • 경쟁사와 비교하여 상대적 경쟁력을 평가.
  • ChatGPT 활용:
    • 산업 동향 요약 및 경쟁사 비교 분석 지원.
    • 구체적인 질문(예: "자동차 산업의 최근 전기차 동향")을 통해 정보를 빠르게 도출.

5. SWOT 및 종합 분석

  • SWOT 분석:
    •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요인 도출.
  • ChatGPT 활용:
    • 수집된 데이터와 재무지표를 바탕으로 강점/약점 도출.
    • 추가로 보완할 정보나 부족한 분석 포인트를 제안.

6. 결과 정리 및 보고서 작성

  • 보고서 작성 틀:
    1. 기업 개요
    2. 산업 및 경쟁사 분석
    3. 재무제표 분석
    4. SWOT 분석 및 결론
  • ChatGPT 활용:
    • 보고서 작성 초안을 생성.
    •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하거나, 특정 섹션을 보완.

7. 실행 팁

  • 협업도구: Excel에서 계산한 주요 지표를 ChatGPT와 연결하거나, Python을 사용하여 데이터 처리 및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 자동화: Python과 ChatGPT API를 결합하면 재무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추가 도움 제안

  • Case Study: 조부장님이 관심 있는 특정 기업을 말씀해 주시면, 제가 해당 기업을 예제로 간단한 분석 과정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 보고서 템플릿: 필요하시면 보고서 작성 템플릿도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Posted by 김흥국생명
,

20250120_economy_879578000.pdf
6.84MB

이 문서는 2025년 외환시장 전망을 중심으로 원/달러 환율 및 주요 통화의 변동성을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달러 환율 동향

  • 환율 상승 배경:
    • 미국 경제의 강력한 펀더멘탈(성장률 및 고용 안정).
    •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고관세, 확장 재정 등).
    • 한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비상 계엄 선포 등).
  • 2025년 수정 전망:
    •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420원으로 기존 전망(1,330원) 대비 상향 조정.
    • 상반기 강세 이후 하반기 약세로 1,400원 내외 도달 예상.

2. 주요 변수와 영향

  • 미국 경제:
    • 예상보다 견고한 경기 흐름과 고용 증가가 환율 상승 압력을 유지.
    • 금리 인하 예상 횟수 조정(3~4차례 → 2차례).
  • 트럼프 정책:
    • 관세 정책 시행 지연 가능성.
    • 에너지 공급 확대 정책으로 인한 달러 약세 가능성.
  • 한국 경제:
    • 내수 부진과 정치 불확실성 해소 기대.
    • 금리 인하 폭 축소 시 환율 하락 여지.

3. 주요 통화별 수정 전망

  • 달러/유로: 평균 환율 전망을 1.05달러로 하향(기존 1.10달러).
  • 엔/달러: 일본의 금리 인상 전망에 따라 149엔으로 상향(기존 140엔).
  • 위안/달러: 중국 경기 우려 반영으로 7.2위안 중반으로 상향 조정.

4. 추가적인 통찰

  • 정치적 불확실성:
    • 프랑스 및 유럽 정치 리스크로 유로화 약세 지속.
    • 미국 정책 변화로 신흥국 통화의 약세 지속 가능성.
  • 중국 경기:
    • 부양책 구체화가 3월 이후 본격화될 가능성.

5. 결론 및 전략

  • 원/달러 환율은 높아진 수준을 유지하나 하반기 순환적 하락 전망.
  • 대외 경제 요인과 대내 정치 리스크 해소가 시장 변동성의 핵심.
Posted by 김흥국생명
,